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년 중위소득 150% 기준 총정리

by decz 2025. 6. 19.
반응형

“정부지원금 신청하려는데 중위소득 150% 이하여야 한다고 하던데?”
“우리 집 소득이 이 기준에 맞는 건지 잘 모르겠어요…”

각종 복지 제도나 지원금 안내를 보면
항상 등장하는 단어, 바로 **“중위소득”**이죠.
그중에서도 자주 언급되는 게 **‘중위소득 150%’**입니다.

그래서 오늘은
✔ 중위소득이 무엇인지
✔ 2025년 중위소득 150%는 얼마인지
✔ 우리 가구가 해당 기준에 포함되는지
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릴게요.


✅ 중위소득이란?

우리나라 전체 가구를 소득 순으로 줄 세웠을 때, 정중앙(50%)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.

  • 매년 보건복지부에서 발표
  • 기준 중위소득은 각종 복지제도의 소득기준으로 활용
  • 예: 기초생활수급자(중위소득 30% 이하), 긴급복지(100% 이하), 각종 바우처(150% 이하) 

💰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50% 금액표

가구원 수기준 중위소득 (100%)중위소득 150%
1인 가구 2,206,493원 3,309,740원
2인 가구 3,683,482원 5,525,223원
3인 가구 4,744,017원 7,116,026원
4인 가구 5,733,712원 8,600,568원
5인 가구 6,678,415원 10,017,623원
6인 가구 7,569,659원 11,354,488원
 

📌 소득은 월 기준입니다.
📌 건강보험료 납부액으로 간접 판단 가능 (아래 참고)


🏥 건강보험료로 확인하는 방법

실제 정부지원금 신청 시엔 ‘소득’뿐 아니라
건강보험료 납부 금액으로 소득 수준을 간접 판단합니다.

예를 들어 4인 가구 기준,
건강보험료가 약 38만 원 이하라면
중위소득 150% 이하일 가능성이 높습니다.

정확한 판단은
✔ 사회복지시설
✔ 주민센터
✔ 복지로 사이트(https://www.bokjiro.go.kr)에서 확인 가능합니다.


📌 어디에 활용될까?

중위소득 150% 기준은 다음과 같은 제도에서 활용됩니다:

  • 아이돌봄서비스 요금 지원
  • 청소년 한부모 가족 지원
  • 에너지바우처
  • 긴급복지지원제도 (상황에 따라 150% 이하 가구도 가능)
  • 청년 월세 특별지원
  •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

💬 자주 묻는 질문

Q. 우리 가구가 맞벌이인데도 해당될 수 있나요?
→ 네, 맞벌이도 소득 합산 기준으로 판단합니다.
다만 일부 지자체는 ‘맞벌이 가점’이나 소득 공제도 있습니다.

Q. 비정규직이나 프리랜서도 가능하나요?
→ 소득을 증명할 수 있다면 가능합니다. 건강보험 지역가입자는 보험료 기준으로 판단함.

Q. 재산 기준은 없나요?
→ 일부 지원사업은 재산도 포함합니다. 예: 긴급복지, 주거급여 등


✅ 마무리 요약

✔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50%는 1인 가구 기준 약 331만 원
✔ 4인 가구 기준은 약 860만 원 이하
✔ 건강보험료와 소득금액 기준 병행 확인 필요
✔ 각종 복지 지원금, 서비스 이용 시 꼭 체크해야 할 기준!


📌 우리 가구가 지원 대상인지 궁금하다면
복지로 또는 주소지 주민센터에서
소득 판정 및 서비스 상담 받아보세요!
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