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 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일 및 기준 정리

by decz 2025. 6. 17.
반응형

올해 성과급은 언제? 얼마나? 꼭 알아두세요!

매년 상반기가 되면 공무원 사이에서 가장 관심 많은 키워드 중 하나가
바로 **성과상여금(성과급)**이죠.
2025년에도 어김없이 지급이 예정되어 있고,
성과평가 등급에 따라 금액 차이가 나는 만큼
지급 시기와 기준을 미리 확인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!


✅ 공무원 성과상여금이란?

성과상여금이란,
국가 및 지방직 공무원에게 업무 실적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 보수 외 수당입니다.
정기적으로 지급되는 봉급과는 별도로,
매년 1회, 평가 결과에 따라 차등화된 성과급 형태로 제공됩니다.


✅ 2025년 성과상여금 지급일

  • 지급 시기: 2025년 4월 말 ~ 5월 중순 사이
  • 부처별 일정 차이 존재: 통상 4월 마지막 주부터 5월 둘째 주 사이
  • 국가직: 인사혁신처 기준으로 4월 말 지급 시작
  • 지방직: 시도 교육청 및 지자체 사정에 따라 최대 5월 하순까지 차이 가능

✅ ※ 본인의 인사과 또는 총무과에 확인 시 정확한 날짜 안내 가능!


✅ 2025년 성과상여금 대상자

  • 대상 직군: 일반직 5급 이하, 별정직, 전문임기제, 연구직, 지도직 등
  • 공무원 중 무보직 또는 인사평가 제외자는 일부 대상 제외
  • 성과평가 등급(A~D) 부여자만 수령 가능

✅ 지급 기준 및 등급별 차등

성과급은 **근무 성과 평가 결과(A, B, C, D등급)**에 따라
차등 비율로 지급됩니다.

예시) 7급 공무원 기준 (지방직 평균):

평가 등급비율 (%)지급액 (예시)
A등급 100% 약 260만 원
B등급 80% 약 210만 원
C등급 50% 약 130만 원
D등급 미지급 없음
 

※ 금액은 부처, 지자체, 직급, 보직에 따라 변동 있음


📌 성과평가 기준은?

  • 연초에 설정된 직무목표 및 추진성과, 근무태도, 협업, 책임감, 민원처리 실적 
  • 상급자 평가 + 동료평가 + 실적평가 혼합 방식 적용
  • 일부 기관은 근태, 교육 이수율까지 포함하여 가산 또는 감점 적용

💬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. 휴직 중이면 성과상여금 받을 수 있나요?
→ 원칙적으로 해당 연도 근무 실적이 인정되는 기간이 있어야 하며,
평가 대상에서 제외되면 지급도 제외됩니다.

Q. 육아휴직 후 복직했는데 받을 수 있을까요?
→ 복직 시점부터 평가 기간이 충분하면 일부 가능성 있음 (부처별 확인 필요)

Q. A등급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?
→ 업무 실적 외에도 민원 태도, 보고서 질, 상급자와의 협업능력 
정성 평가 요소가 크기 때문에, 평소 관리가 중요합니다.


✅ 마무리 요약

✔ 2025년 공무원 성과상여금은 4월 말~5월 중순 지급 예상
 일반직 5급 이하부터 지급, 평가 등급에 따라 차등
✔ A등급일수록 지급액 높고, D등급은 미지급
✔ 지자체·기관별로 세부 일정은 다를 수 있으므로 인사과 문의 권장


성과상여금은 단순한 보너스가 아니라,
한 해 동안의 노력과 결과에 대한 국가의 공식적인 인정입니다.
2025년에도 좋은 평가와 함께 알찬 보상 받으시길 바랍니다!

 

반응형